당뇨병 초기에는 지각증상이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혈당이 높은 상태가 지속되면 목속 혈관이 망가집니다. 특히 가는 혈관이 많은 눈, 신장, 팔다리로 번집니다. 망막의 미세한 혈관이 손상되어 시력이 저하되거나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혈관을 여과 하여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하게 하는 신장의 기능도 저하되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거나 심하면 여과 기능이 불가능하게 되면 인공투석을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신경세포가 망가지고 혈액 공급이 되지 않으면 손발이 무감각하게 되고, 조직이 죽는 괴지가 일어 날 수도 있습니다.
인공투석은 신장기능이 10~15퍼센트이하로 떨어질 경우에 하며, 투석은 일주일에 3회, 1회 투석시 4~5시간이 걸립니다. 일상생활이 힘들어지며, 투석 후에는 컨디션 난조 등 불편과 불행한 시간을 겪습니다. 그래서 당뇨병 초기에 병을 잡아야 합니다.
혈당이 높아서 생기는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당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간의 몸을 움직이기 위한 3대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있습니다. 그 중 탄수화물은 가장 빠르게 에너지로 전환되는 영양소입니다. 탄수화물은 당질과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지며, 당질은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혈액 속에서 전신 세포로 보내져 에너지원이 됩니다. 남는 부분은 근육과 간에 흡수되어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혈당이 부족할 때 꺼내 쓰게 됩니다.
칼로리 제한 다이어트로 체중 관리를 하지만 칼로리는 1기압에서 1g의 물을 1도씨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입니다. 음식의 무게의 칼로리가 몸 속에서 타지 않습니다. 음식을 먹을 때 몸속에서는 소화 및 신진대사이며, 음식을 연소시켜 결정되는 칼로리와는 무관합니다.
인체에서 당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곳은 근육입니다. 혈당의 80% 이상이 골격근으로 흡수됩니다. 근육량이 적은 사람은 혈당이 올라가기 쉽습니다. 나이가 들면 몸의 근육량이 줄어듭니다. 나이를 먹을수록 혈당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해 혈당이 올라갑니다. 나이가 들수록 운동으로 근육량을 키워야 합니다.

우리가 하는 운동에는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이 있습니다. 가벼운 유산소 운동으로는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미비합니다. 유산소 운동으로 혈당을 낮추기 위해서는 단순한 산책보다는 숨이 차도록 빨리 걷거나 계단 걷기 등의 운동이 필요합니다. 또는 근육 강화를 위한 무산소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스쿼트, 팔굽혀펴기, 복근운동, 근육운동으로 근육을 키워야 합니다.

단백질은 우리 몸의 골격근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원입니다. 운동과 단백질이 부족하고 우리 몸은 에너지가 부족하게 될 때, 체 내에 있는 단백질 쓰기 시작하는데 가장 먼저 사용하는 곳이 근육입니다. 단식으로 체중 감량을 하게 되면 겉보기에는 살이 빠져 좋아 보이지만 사실은 우리 몸의 근육이 빠진 겁니다. 근육이 빠지면 신진대사가 저하되고, 체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고기와 달걀 등 살이찌게 만드는 음식이라고 생각하지만 단백질은 오히려 의식적으로 먹어야 할 음식입니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로 근육을 키워야 합니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총 20가지가 있는데 그 중 9류는 체내에서 만들어지지 않고,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데 고기와 달걀이 좋은 단백질입니다.
'죽을 때까지 건강하게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 약 먹어야 하나요?2 (0) | 2024.05.28 |
---|---|
고혈압 약 먹어야 하나요? (1) | 2024.05.27 |
착한암 갑상선암 (0) | 2024.05.23 |
당질제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3 (0) | 2024.05.22 |
당질제한 저탄수화물 다이어트2 (4) | 2024.05.21 |